반응형 정보관리기술사404 (128 관리 2-4) 마이데이터 사업의 개념 및 산업별 주요 제공정보 범위 제 2 교시 개정된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한 후에 데이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IoT 등 여러 산업 군에서의 혁신과 신사업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핵심 자원인 데이터를 좀 더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3법’과 마이데이터사업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단, ‘데이터 3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을 통칭함) 가. ‘데이터 3법’ 개정 배경과 주요 개정 내용 나. 마이데이터 사업의 개념 및 산업별 주요 제공정보 범위 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활성화 방안 멘토링 문제풀이 외 마이데이터 관련 중요한 내용들에 대해 추가 포스팅했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행복한 일상 되세요. 참고 자료 마이데이터 종합포털 (mydatacenter.or.kr) 마이데이.. 2022. 7. 30. (128 관리 2-4) ‘데이터 3법’ 개정 배경과 주요 개정 내용 제 2 교시 개정된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한 후에 데이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IoT 등 여러 산업 군에서의 혁신과 신사업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핵심 자원인 데이터를 좀 더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3법’과 마이데이터사업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단, ‘데이터 3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을 통칭함) 가. ‘데이터 3법’ 개정 배경과 주요 개정 내용 나. 마이데이터 사업의 개념 및 산업별 주요 제공정보 범위 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활성화 방안 출처 : 데이터 3법 개정의 의미와 추후과제 Meanings and Tasks of the Three Revised Bills which Ease Regulations on the Use of Pe.. 2022. 7. 29. OECD 프라이버시 8원칙 - "수정목이 안공참책" OECD 프라이버시 8원칙 수정목이 안공참책 원칙 설명 수집 제한의 원칙 개인정보의 수집은 합법적이고 공정한 절차에 의하여 가능한 한 정보주체에게 알리거나 동의를 얻은 후에 수집되어야 한다 정보 정확성의 원칙 개인정보는 그 이용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어야 하고, 이용 목적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정확하고 완전하며 최신의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목적 명확성의 원칙 개인정보는 수집 시 목적이 명확해야 하며, 이를 이용할 경우에도 수집 목적의 실현 또는 수집 목적과 양립되어야 하고 목적이 변경될 때마다 명확히 해야 한다. 이용제한의 원칙 개인정보는 정보주체의 동의가 있는 경우나 법률의 규정에 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명확화된 목적 이외의 용도로 공개되거나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안전성 확보의 원칙 개인정보의 분실,.. 2022. 7. 28. (128 관리 2-3)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제 2 교시 2. 코로나 19로 인한 중국 물류수급 문제 및 반도체 대란에 따른 전체 산업분야에서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관리(SCM)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나. 수요 예측의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다.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안전재고 주문에 대한 리드타임 동안 예측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비하도록 미리 보유하고 있는 재고 갑작스러운 수요 증가 등 사업 운영에 있어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재고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대비할 수 있는 추가 재고 수요, 리드타임, 부품의 공급 등의 불확실한 상황으로 인한 고객서비스의 차질과 부품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기회비용을 예방하기 위한 비축량 적정재고 안전재고에 경제적인 측면까지 고려.. 2022. 7. 27. 인공지능 도메인 기출문제 트렌드 (관리 128-1-4)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링(Modeling)과 모델옵스(ModelOp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2.07.06 - [정보관리기술사/128회 기출문제 풀이] - (128 관리 1-4) 기계학습 모델링과 모델옵스(ModelOps) (128 관리 1-4) 기계학습 모델링과 모델옵스(ModelOps) 제 1 교시 4.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링(Modeling)과 모델옵스(ModelOp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음 (X) 아마도 127회에 모델옵스(ModelOps) 문제가 출제된 바 있어서, 대부분의 예비 기술사님들께서.. peimsam.tistory.com (관리 127-1-2) 모델옵스(ModelOps) 128회 연계/확장 문제로 출제 .. 2022. 7. 26. (128 관리 2-3) 수요 예측의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제 2 교시 2. 코로나 19로 인한 중국 물류수급 문제 및 반도체 대란에 따른 전체 산업분야에서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관리(SCM)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나. 수요 예측의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다.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멘토링 오늘 풀이하는 항목은 개인적으로 모르는 부분들이 많아서, 웹 검색하여 찾은 유용한 사이트와 블로그들의 링크 정보, 발췌한 주요 정보 위주로 포스팅 합니다. 모르는 문제들도 풀이하기 위해 검색을 하면서 하나씩 저도 배워 가네요.. 행복한 일상 되세요. 감사합니다. 수요 예측의 7단계 제2절 수요예측 (kocw.or.kr) ※ 예측의 7단계 ① 예측의 목적과 용도 ② 예측 대상 품목과 단위 .. 2022. 7. 26. (128 관리 2-3)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제 2 교시 2. 코로나 19로 인한 중국 물류수급 문제 및 반도체 대란에 따른 전체 산업분야에서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관리(SCM)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나. 수요 예측의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다.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공급망 관리의 개념 공급망 관리(供給網管理, supply chain management, SCM)란 부품 제공업자로부터 생산자, 배포자, 고객에 이르는 물류의 흐름을 하나의 가치사슬 관점에서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가 원활히 흐르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업 내에 부문별 최적화나 개별 기업단위의 최적화에서 탈피하여 공급망의 구성요소들 간에 이루어지는 전체프로세스 최적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영.. 2022. 7. 25.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제도(CSAP) 인증 기준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제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3조 제2항에 따라 정보보호 기준의 준수여부 확인을 인증기관이 평가·인증하여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클라우드서비스 보안인증제도는 IaaS, SaaS, DaaS 인증으로 구분 IaaS 인증은 관리적·물리적·기술적 보호조치 및 공공기관용 추가 보호조치로 총 14개 분야 117개 통제항목으로 구성 참고 자료 KISA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2022. 7. 24. (128 관리 2-2)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및 유형별 평가기준 제 2 교시 2.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서비스 활용 절차에 따른 주요 태스크와 클라우드의 기본설계과정 나.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구조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절차 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SaaS/PaaS/IaaS) 및 유형별 평가기준 멘토링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별 평가기준이 뭘까????? 엄청 고민하게 하는 문제였습니다. 해당 문제에 대해서는 "공공부문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적합성 자가진단 및 유형별 도입지침 해설서" 를 참고해서 우선 작성해 봤습니다. 향후 보완 자료를 보게 되면 업데이트 할 계획이며, 참고 링크는 시간 내셔서 한번 읽어 보시길 권고드립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IaaS, PaaS, S.. 2022. 7. 24. (128 관리 2-2)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구조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절차 제 2 교시 2.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서비스 활용 절차에 따른 주요 태스크와 클라우드의 기본설계과정 나.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구조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절차 다. 클라우드 서비스유형(SaaS/PaaS/IaaS) 및 유형별 평가기준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 구조 멘토링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 구조가 뭘까?? 출제자의 의도는 무엇일까?? 많은 고민이 되게 하는 질의 항목이었습니다. 일부 해설지와 웹 검색을 통해 클라우드의 활용 구조를 클라우드 수용/전개/배치 모델로 접근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rivate Cloud (전용 클라우드) Public Cloud (공공 클라우드) Hybrid Cloud .. 2022. 7. 23. (128 관리 2-2)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스 서비스의 활용 및 운영 금주는 바빠서 향후 포스팅할 때 참고할 자료 링크 위주로 작성해 봤습니다. 행복한 일상 되세요. ps. 구글 애드센스 관련 이슈가 있어서, 해결 될 때까지 조금이라도 쾌적하도록 일부 광고 송출을 해제해 놨습니다. 제 2 교시 2.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서비스 활용 절차에 따른 주요 태스크와 클라우드의 기본설계과정 나.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구조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절차 다. 클라우드 서비스유형(SaaS/PaaS/IaaS) 및 유형별 평가기준 참고 자료 행정 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2022.3.31. 폐지) |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참고자료> 참고자료 (mois.go.kr) 클라우드컴퓨팅(.. 2022. 7. 22. (128 관리 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제 2 교시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용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 되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및 필요성 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품질관리 단계별 수행방안 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의 정의 “데이터의 품질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관점을 정의한 것으로 무엇을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품질관리 지표는 데이터 생애주기 분석,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및 품질관점에서 일치성 분석, 데이터 품질관리 기준.. 2022. 7. 2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은 4가지 원칙과 각 원칙을 준수하기 위한 13개 지침 및 해당 지침의 준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4개의 검사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제 33조 및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시행령 제 30조에 의거하여 2015년 3월 31일 KWCAG 2.1 개정 두음 : 인운이견 원칙 설명 원칙 1 인식의 용이성 (Perceivable) 모든 콘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원칙 2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원칙 3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콘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원칙 4 견고성(Robust) 웹 콘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 2022. 7. 21. (128 관리 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품질관리 단계별 수행방안 제 2 교시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용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 되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및 필요성 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품질관리 단계별 수행방안 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본 『품질관리 안내서』에는 품질관리체계를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의 품질관리를 위한 원칙, 대상, 기준, 조직, 절차 등을 정의하였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2022. 7. 20. (128 관리 2-1)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및 필요성 제 2 교시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용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 되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및 필요성 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품질관리 단계별 수행방안 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조직, 절차, 품질기준, 품질관리 방법이나 활동 등을 정의하여 점검하고 조치하는 일련의 활동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필요성 참고 자료 HOME > 지식정보 > 간행물.. 2022. 7. 1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