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6

사업유형기반 영역별 감리지침 - 사업관리 사업관리 감리영역에 대한 감리 활동과 기본점검항목과의 연관성에 대해 간략히 정리글입니다. 세부 내용은 링크된 자료를 참고하세요. 사업관리 감리 활동 개요 두음 : 착계실통종 감리시점 감리영역 개요 착수/계획 사업관리 사업관리를 위한 계획을 구체적이고 실행가능 수준으 로 수립하였는지 여부 및 실행결과가 요구사항을 충 족시킬 수 있는지 점검 실행/통제 사업관리 계획에 따라 적절히 실행 및 통제하고 있는 지 점검 종료 계획된 일정 내에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여 사 업을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는지 점검 기본점검항목 연관도 두음 : 통범일비품 자위의조이 두음달인 블로그 2022.07.16 - [정보관리기술사/SW 공학] - PMBOK 5가지 프로세스 그룹 - "착계실통종" PMBOK 5가지 프로세스 그룹 -.. 2022. 7. 16.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 용어, 감리 수행 절차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kaisa.or.kr)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고시(제2021-4호, 2021.1.19) 개정과 감리기준 제23조에 따라,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 수행가이드 개정본은 공지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aisa.or.kr 용어 정의 정보시스템 사업 법 제2조 제13호의 규정에 따른 정보시스템을 기획·구축·운영·유지보수하거나 정보시스템 감리, 전자정부사업관리의 위탁 등을 하기 위한 사업(구축·운영지침 제2조제2호) 감리대상사업 감리의 대상이 되는 정보시스템 사업 발주자 감리대상 사업을 발주한 자 사업자 발주자와의 계약에 따라 감리대상사업을.. 2022. 7. 15.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해설서 - 감리관점별 점검기준 자료실 -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해설서 3.0(안) (kaisa.or.kr) 자료실 -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해설서 3.0(안) 한국정보사회진흥원에서는 2006년 10월 개정된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제16조(정보통신부고시 제2006-42호)와 “감리점검해설서 보급 등 정보시스템 감리제도 지원 협조”(정보통신부 정보이용촉진 kaisa.or.kr 감리관점 두음: 절산성 감리관점별 점검기준은 감리를 시행할 때 감리관점별 점검하는 기준으로, 각 관점의 특성, 또는 품질기준으로 볼 수 있다. 즉, 각 감리관점에서 감리시행시 중점적으로 검토하는 영역에 대한 품질기준이기도 하면서, 해당 감리영역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감리관점별 점검기준 2022. 7. 15.
감리 점검 프레임워크 개념 및 구성요소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정보시스템 감리 개념모델에 근거하여 감리영역, 사업유형/감리시점, 감리관점/점검기준으로 구성된 감리 수행 기준을 제시하는 프레임워크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구성요소 두음 : 영시관/영사관 - 감리영역, 사업유형/감리시점, 감리관점/점검기준 정보시스템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사업유형/감리시점 두음 : 아정개데운유 정보기술아키텍처구축 정보화전략계획수립 시스템개발 데이터베이스구축 시스템운영 유지보수 2022. 7. 15.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 · 관리 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 · 관리 가이드를 공부하면서 일부 내용을 발췌해서 포스팅합니다. 상세한 내용은 참조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kaisa.or.kr)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고시(제2021-4호, 2021.1.19) 개정과 감리기준 제23조에 따라,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 수행가이드 개정본은 공지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aisa.or.kr 감리 관련 법령 · 고시 · 가이드 구성 체계 감리 발주 · 관리 활동 두음 : 기준 발 실종 시 예대, 요기 과업, 제입마평체, 예계시조관, 완종 감리형태의 분류 2022. 7. 15.
감리 관련 법령 · 고시 · 가이드 구성 체계 감리 관련 법령 · 고시 · 가이드 구성 체계 두음 : 전시 기 발수점 전자정부법, 전자정부법 시행령,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 · 관리 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 수행 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 점검 가이드 참고 자료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kaisa.or.kr) 자료실 -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수행가이드 정보시스템 감리기준 고시(제2021-4호, 2021.1.19) 개정과 감리기준 제23조에 따라, 2022년 정보시스템 감리 발주관리가이드 및 감리 수행가이드 개정본은 공지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aisa.or.kr 2022. 7. 15.
정보시스템 감리 업무 범위 및 수행 절차 감리 업무 범위 제72조(감리법인의 업무범위 등) ① 법 제57조제1항 또는 제4항에 따라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는 법인 또는 기관의 업무범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1. 사업수행계획의 계약내용 반영 여부, 일정 및 산출물 작성계획의 적정성 여부 검토ㆍ확인 2. 과업범위 및 요구사항의 설계 반영 및 구체화 여부 검토ㆍ확인 3. 과업 이행 여부 점검 4. 관련 법령등, 규정 및 지침 등의 준수 여부에 대한 검토ㆍ확인 5. 그 밖에 법 제57조제5항에 따른 감리기준(이하 “감리기준”이라 한다)에서 정하는 사항 ② 제1항에 따라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는 법인 또는 기관은 다음 각 호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정보시스템 감리업무의 수행 형태에 따라 일부 절차를 변경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1. .. 2022. 7. 15.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www.kisa.or.kr KISA의 지식플랫폼내 다양한 가이드라인 시간내셔서 틈틈히 읽어 보시길 권고 드립니다. KISA가 ISMS-P의 인증기관인 것은 참고로 알고 계시면 좋을 듯 합니다. GDPR 홈페이지 (kisa.or.kr) GDPR 홈페이지 해외 개인정보 보호 법률(GDPR 등) 문의 gdpr.kisa.or.kr 2022. 7. 14.
정보시스템 감리 법적 근거 및 감리업무 수행 형태 정보시스템 감리 법적 근거 (전자정부법 제57조 1항) 전자정부법 www.law.go.kr 제57조(행정기관등의 정보시스템 감리) ① 행정기관등의 장은 정보시스템의 특성 및 사업 규모 등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제58조제1항에 따른 감리법인으로 하여금 정보시스템 감리를 하게 하여야 한다. 다만, 제64조의2에 따라 전자정부사업관리를 위탁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전자정부사업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감리업무 수행 형태 두음 : 단상추 요설종 단계적 감리 (3단계 감리, 2단계 감리), 상주감리, 추가감리 제2조(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2. "3단계감리"란 감리대상사업의 요구정의, 설계, 종료 단계로 실시하는 감리를 말한다. 1.. 2022. 7. 14.
정보시스템 감리 정의 및 대상,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틈틈히 정보시스템 감리 토픽에 대해서도 공부하면서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정보시스템 감리 두음달인 정보시스템 감리 정의 정보시스템감리기준 (law.go.kr) 정보시스템감리기준 www.law.go.kr 제2조(정의) "감리"란 발주자와 사업자 등의 이해관계로부터 독립된 자가 정보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3자의 관점에서 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정보시스템 감리의 대상 두음 : 대공오장 -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행정업무 또는 민원업무 처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 여러 중앙행정기관등이 공동으로 구축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으로 사업비가 5억원 이상인 경우 - 그밖에 정보기술아키텍처 또.. 2022. 7. 14.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지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or.kr)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보화로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가미래를 열어가는 세계 최고의 ICT 전문기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입니다. www.nia.or.kr 지식정보 - 간행물에 정말 유익한 많은 정보가 있습니다. 공부하시면서 틈틈히 방문해서 보시길 권고 드립니다. HOME > 지식정보 > 간행물 > ICT 동향 분석 > 지능데이터 동향 > [2022.2.공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 공개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nia.or.kr) [NIA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2.공개]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 공 정보화로 사회현안을 해결하고 국가미래를 열어가는 세계 최고의 ICT 전문기관.. 2022. 7. 14.
(128 관리 1-13) 큐비트(Qubit) 제 1 교시 13. 큐비트(Qubi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음 및 연상 스토리 설명 멘토링 양자 암호통신, QKD, PQC 등 양자 컴퓨팅과 관련된 유사 토픽이 이미 출제된바 있기 때문에 큐비트에 대해 많은 예비 기술사님들이 알고 계셨을 거라 판단됩니다. 이 문제는 큐비트의 정확한 개념, 블로흐 구면 기반 개념도와 켓/확률 진폭을 이용한 수식 표현, 기존 컴퓨터와의 특성 비교를 설명한다면 고득점이 예상됩니다. 기출문제 (관리 128-4-4) 최근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도감청이 불가능한 양자 암호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양자 암호통신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양자 암호통신의 암호키 분배방식 나. 양자 암호통신의 주요기술 다. 양자 암호통신의 취약점 (관리 125-1-9) 포스트 .. 2022. 7. 14.
(128 관리 1-12) 랜섬웨어(Ransomware)와 RaaS(Ransomware as a Service) 제 1 교시 12. 랜섬웨어(Ransomware)와 RaaS(Ransomware as a Servic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음 및 연상 스토리 설명 멘토링 보안 관련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대응 방안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질문하지 않았어도 3단락에는 대응 방안을 기술해서 고득점을 얻어야 합니다. 가끔 문제 풀이 위해 잘 맞는 유용한 자료를 발견하면 희열을 느끼기도 합니다. 오늘 찾은 내용 중, KISA의 [랜섬웨어1]랜섬웨어_대응_가이드라인 이 있는데, 시간 내서서 읽어 보시길 권고 드립니다. 3단락 대응 방안은 관기물(관리적, 기술적, 물리적) 관점으로 설명하면 좋습니다. 1 교시형 2개념 문제는 시간 관리와 꼭 필요한 내용을 기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출문제 (관리 113-3-3) 랜섬웨어 공격.. 2022. 7. 13.
(128 관리 1-11)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 CA/OS 부문 고전 토픽이어서, 많은 참고 자료 링크를 걸어 놨습니다. 한번씩 방문해 보시고 좋은 정보들 얻어가시길 바래요. 제 1 교시 11.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두음 및 연상 스토리 설명 메모리 인터리빙 유형: 상하혼 상 : 상위 인터리빙 - 상모하기 상위 비트 - 모듈 선택 하위 비트 - 기억장소 선택 하 : 하위 인터리빙 혼 : 혼합 인터리빙 데이터 액세스 방식 : CS C : Concurrent-access S : Simultaneous-access 상모하는 것을 상상해요. 멘토링 대부분의 기출문제 풀이 또는 토픽 정리가 개념, 메모리 인터리빙 유형, 데이터 액세스 방식으로 풀이되어 있는데 이 문제의 점수 차이는 얼마나 효과적으로 3가지 .. 2022. 7. 13.
일간 방문수 7월 100 첫 돌파 기념 7월 블로그 일간 방문수 100 을 처음 돌파한 것을 기념하며 ... 더 유익한 글들을 포스팅 할 수 있도록 노력할게요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2022. 7.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