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46

(129 관리 3-3) 데이터 마이닝, 통계 자료 수집 중 제 전공분야가 아니고,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하기 내용은 선별해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나름 관련 링크를 여러 개 찾아봤는데, 개념 정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 데이터 마이닝과 통계의 차이점 통계 분석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 집단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가설과 검정 등, 추론 과정을 거쳐 분석하는 기술 - 대표적 통계적 방법: 기술 통계(記述統計,descriptive statistics), 추론 통계(statistical inference) 기술 통계 기술통계(記述統計,descriptive statistics)는 측정이나 실험에서 수집한 자료의 정리, 표현, 요약, 해석 등을 통해 자료의 특성을 규명하는 통계적 방법 추론 통계 추론 통계(statistical inferen.. 2023. 3. 13.
(129 관리 3-2)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정보화사업에서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를 이용하여 범위 및 일정 등을 관리한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WBS 작성 원칙 나. WBS 작성 장점 다. WBS 작성 고려사항 라. 일정지연 시 만회대책 및 사례 멘토링 지난 128회 정보관리 1교시 1번 문제로 출제된 바 있는 WBS 아마도 대부분 준비를 잘 하시고 풀이하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블로그를 보다 보니 예전에 유사 기출문제 정리했던 게 있어서 우선 재 포스팅합니다. 나중에 찬찬히 정리할게요. [두음] 백원롤방, 패코통사라 □ WBS 주요 원칙 백 : 100%(백퍼센트) Rule 원 : One-Week / Two-Week 원칙 롤 : Rolling Wave Planning (연동 계획) 방 : 방법론 이용.. 2023. 3. 9.
(129 관리 3-1) ISP 및 ISMP 수립 공통가이드 6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및 기획재정부는 최근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및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수립 공통가이드” 6판 (2022.5.20)을 출시하였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공통 가이드 수립 배경 및 필요성 나. ISP와 ISMP의 차이점 다. ISP 및 ISMP의 각 단계별 활동 내용 및 산출물의 종류 HOME > 알림마당 > NIA 알림 > 공지사항 >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6판) 배포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jsessionid=05CBDC19423756BD1B68EF0DAE5E919D.28945.. 2023. 3. 9.
129회 정보관리 기출문제 해설지 (KPC) KPC 카페에 제 129회 정보관리 기출문제 해설지가 올라와 있네요. 관심 있으신 분은 방문하셔서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너무나 좋은 자료들이어서, 제가 자주 이용하곤 하는데, 감사합니다. 꾸벅 행복한 일상 되세요. 기출문제 해설지,KPC 기술사 및 ICT 정보공유 커뮤니티 : 네이버 카페 (naver.com) KPC 기술사 및 ICT 정보공유 커뮤니티 : 네이버 카페 IT전문가와 정보처리기술사, 정보관리기술사를 지향하는 모두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입니다. cafe.naver.com 2023. 3. 7.
(129 관리 2-6) 리팩토링, 디자인 패턴 객체지향의 기법 중에는 리팩토링(Refactoring)과 디자인패턴(Design Pattern)이 있다. 두 기법을 각각 정의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3.03.05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멘토링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 번 강조한 것 같은데, 기술사 공부에 있어서 탑싯(TOPCIT)은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꼭 시간내서서 정독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가) 리팩토링 개념 ① 리팩토링 개 peimsam.tistory.com 2023.03.06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디자인 패턴(.. 2023. 3. 7.
[탑기공]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가) 디자인 패턴 개념 소프트웨어 설계의 특정한 맥락에서(in a context) 반복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recurring problem)에 대해서 일반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해결 방법 디자인패턴 분류 [두음] 생구행 클객 목적에 따라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생성 패턴: 객체의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패턴 ② 구조 패턴: 클래스나 객체의 합성에 관한 패턴 ③ 행위 패턴: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책임을 분산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패턴 범위에 따라 패턴을 주로 클래스에 적용하는지 아니면 객체에 적용하는 지를 구분할 수 있다. ④ 클래스 패턴: 클래스와 서브 클래스 간의 관련성을 다루는 패턴. 관련성은 주로 상속이며, 컴파일 타임에 정적으로 결정한다... 2023. 3. 6.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멘토링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 번 강조한 것 같은데, 기술사 공부에 있어서 탑싯(TOPCIT)은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꼭 시간내서서 정독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가) 리팩토링 개념 ① 리팩토링 개요 외부에서 보는 프로그램 동작은 변경하지 않고 프로그램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것 즉, 소프트웨어의 외부적 기능은 수정하지 않고 내부적 구조 및 관계를 단순화하여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을 향상해 품질을 높이는 활동 리팩토링 수행 이유 오류발견과 디버깅 용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변경에 효과적 대응 가능 복잡한 코드의 단순화 및 소스코드 가독성 향상 프로그램 생산성 및 품질 향상 ② 리팩토링 수행 절차 나) 코드스멜(Code Smell) 개념 ① 코드스멜의 개념 읽기 어렵거나 중복된 로직을 가진 프로그램처럼 개발자.. 2023. 3. 5.
(129 관리 2-5) 구조적 방법론, Agile 방법론 A 기업은 다수의 기존 정보시스템을 운영 및 유지보수를 하고 있으며 신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을 기획중에 있다. 개발 방법론으로 구조적 방법론을 주로 활용하여 왔지만 Agile 방법론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구조적 방법론과 Agile 방법론 비교 나. Agile 방법론의 스크럼(Scrum)과 칸반(Kanban) 설명 다. Agile 방법론의 효율적인 수행 방안 제시 멘토링 이 문제는 대부분 선택하시고, 잘 풀이하셨을거라 예상됩니다. 소프트웨어공학 도메인의 필수 토픽이니까요. 정리는 찬찬히 하고, 관련 있는 블로그 내 자료 우선 재포스팅 합니다. 행복한 일상되세요. 참고 자료 2022.12.07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03. 소프트.. 2023. 3. 4.
(129 관리 1-4) 대규모 공공 차세대 시스템 최근 대규모 공공 차세대 시스템이 오픈 이후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사회적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발생된 문제점의 원인 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및 법제도 보완 방안 다. 시스템 오픈 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지표관리 멘토링 정답이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기술사적 소견을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서술하면 될 듯합니다. 결국 핵심 키워드가 중요한데, 최근 공공 차세대 시스템 이슈들이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알고 있었다면 풀이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백신 예약 시스템, 온라인 클래스,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이슈들에 대한 원인은 몇 개의 기사들만 봐도 알 수 있을 듯한데, 예산 부족, 낮은 수익률, 불공정 관행, 과업범위 변경, SW 산업에 대한 .. 2023. 3. 2.
(129 관리 2-3) 딥뷰(Deep View) 개념, 기술요소 딥뷰(DeepView)의 개념과 기술요소를 설명하시오. 멘토링 너무나도 전문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소개 자료를 봐도 저 역시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 개념에 대해 참고로만 보시기 바라며, 관심 있으신 분들은 ETRI 인공지능연구소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딥뷰(Deep View) 인간처럼 보고 이해하는 시각 인공지능 ETRI 인공지능연구소에서 개발한 실시간 대규모 영상 데이터 이해/예측을 위한 고성능 비주얼 디스커버리 플랫폼 (딥뷰, Deep View) 핵심 기술 사람 관절 포인트를 갖고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 사물을 인지하고 추적하는 기술 세부 연구 1. 사물 및 행동이해를 위한 백본 네트워크 고도화 기술 2. 사람 상태 및 속성 이해 뉴럴넷 기술 3. 비디오 행동 이해 네트워크 기술 4. 시.. 2023. 2. 28.
(129 관리 2-2) 접근 제어 통제정책, LDAP 인증 흐름 자료 수집 중 정리는 찬찬히 접근 제어(Access Control)의 통제정책과 경량 디렉토리 액세스 프로토콜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의 인증 흐름(Flow)에 대하여 설명 하시오. 핵심 키워드 [두음] 임강역 임의적 접근통제(DAC), 강제적 접근통제(MAC), 역할기반 접근통제(RBAC) LDAP Client / Server, LDAP Bind Request / Response, ~ LDAP Authentification Workflow (ChatGPT)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is a protocol used for accessing and maintaining distributed d.. 2023. 2. 24.
(129 관리 2-1)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가상화(Virtualization)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일반적인 운영 체제의 프로그램 동작방식 나.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동작방식 다.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의 종류 자료 수집 중 정리는 찬찬히 2교시는 어렵네요. ChatGPT Application virtualization is a technology that allows an application to run in a virtual environment on a computer or server without the need for it to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host operating system. In application virtualization, the application and its de.. 2023. 2. 23.
(129 관리 1-13) 트리 정렬(Tree Sort) 트리 정렬(Tree Sort) 멘토링 나무위키에 설명되어 있는 정렬 알고리즘들은 시간 내서 꼭 한 번씩 정독해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트리 정렬 이진 탐색 트리를 만들어 정렬하는 방식 핵심 키워드 이진 탐색 트리, 트리 중위 순회 Tree Sort | GeeksforGeeks - YouTube [4, 6, 1, 7, 5, 8, 2, 3] ○ 정렬될 배열의 맨 첫 값이 루트 노드가 된다. ○ 다음 값부터는 기존 노드 값과 비교한다. 루트 노드에서 출발해서 추가될 노드 값이 기존 노드 값보다 작은 경우는 왼쪽 자식을, 기존 노드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는 오른쪽 자식을 찾는다. 내림차순은 반대로 기존 노드 값보다 크면 왼쪽, 작거나 같으면 오른쪽을 찾으면 된다. ○ 위 2에서 해당 방향의 자식 노드가 없으면.. 2023. 2. 21.
(129 관리 1-12)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풀이를 하면서 저 역시 하나씩 배워 나갑니다. 정의 부분은 TTA 정보통신용어사전이 제일 마음에 들어서 인용했습니다. 개념도, NOMA vs OFDMA 비교 내용은 인용한 링크를 걸어 놨으니 한 번씩 방문해서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각 사용자 단말별로 주파수나 시간, 코드 자원 등을 공유하여 직교하지 않는(non-orthogonal)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하면서 정해진 자원으로 단말을 좀 더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접속 방식 동일한 자원(time slot, subcarrier, spreading code 등)을 공유한 둘 이상의 단말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동일한 시간.. 2023. 2. 20.
(129 관리 1-11)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신기술, 융·복합 제품에 대해 최소한의 절차와 인증 기준으로 보안 제품을 평가한 뒤 평가 기준이 마련될 때까지 공공부문에 제품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참고 자료 하기 링크에 소개된 내용은 꼭 보시길 권고합니다. https://www.ksecurity.or.kr/kisis/subIndex/552.do KISA 정보보호산업진흥포털 정보보호기술의 거래 활성화 및 경쟁력 강화, 정보보호산업과 관련된 정보제공 등을 위하여 정보보호산업을 종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www.ksecurity.or.kr 2023. 2. 1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