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1

(129 관리 4-1) 인포스틸러(InfoStealer) 인포스틸러(InfoStealer) 개념을 설명하고 공격 절차와 공격에 대한 대응방안을 조직의 정보보안 담당자 입장에서 설명하시오. 자료 수집 중 참고 자료 인포스틸러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나 이메일 클라이언트 같은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 정보나 가상화폐 지갑 주소, 파일과 같은 사용자의 정보들을 탈취하는 것이 목적인 악성코드이다. AhnLab | 보안 이슈 해커가 자동 로그인 기능을 좋아하는 이유 최근 유행하는 악성코드를 논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인포스틸러(InfoStealer)’다. 인포스틸러는.. www.ahnlab.com 2023. 3. 17.
(129 관리 3-6) 기업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실현 기업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실현에서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정보보호 시스템 구축 측면에서의 ESG 나. 개인정보 침해 및 구제 측면에서의 ESG 자료 수집 중 참고 자료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k-esg.or.kr) 지속가능경영지원센터 www.k-esg.or.kr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motie.go.kr)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www.motie.go.kr 2022.11.07 - [개인정보관리사(CPPG)/개인정보보호의 이해] - ESG 경영 참고 자료 ESG 경영 참고 자료 오늘은 간단히 포스팅합니다. CPPG 공부하다가 CSR / ESG 경영 관련 내용이 나오길래 예전에 공부했을 때 기억이 떠올라 자료를 찾아봤는데, 참고하면 좋을 것 같은 링.. 2023. 3. 16.
(129 관리 3-5) EDA(Event Driven Architecture) EDA(Event Driven Architecture)의 토폴로지 구성요소인 중재자 토폴로지(Mediator Topology), 브로커 토폴로지(Broker Topology)를 비교 설명하시오. 참고 자료 인터넷 검색하다가 알게되었는데, EDA에 대해 아주 잘 정리되어 있는 것 같아 링크 걸었습니다. 저도 나중에 시간내서 한번 보려 합니다. 행복한 일상 되세요. EDA(Event Driven Architecture)이란? | devlog.akasai EDA(Event Driven Architecture)이란? | devlog.akasai 최근 기존 구조를 고도화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동기 처리되던 로직을 비동기로 변경하면서 EDA(Event Driven Architecture)를 도입하였습니다. 관련.. 2023. 3. 15.
129회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내일은 129회 기술사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 알고 있는데, 진심으로 많은 예비 기술사님들의 합격을 기원합니다. 좋은 꿈 꾸세요. 아침에 합격자 수가 궁금해서 잠시 봤는데 충격이네요. 정보관리 1명,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1명 기출문제 풀이하면서도 이번 시험 어렵네 하고 계속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되기는 어렵겠지만, 낙담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이 시험은 끈기를 갖고 도전해야 합니다. 블로그를 통해 조금이라도 더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보겠습니다. 합격하신 분들은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2023. 3. 14.
(129 관리 3-4) 데이터 품질관리 A기관은 데이터 품질관리 역량을 갖추고, 품질 제고 활동을 하기 위해 품질관리에 관련된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고자 한다. 데이터 품질관리에 포함되어야 할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데이터 품질관리 총괄 책임자의 역할 나. 정보 생명주기 (Information Life Cycle) 단계별 데이터 품질 관리 활동 다. 데이터 품질 진단 및 개선 절차 기술사 시험 준비할 때 미처 보지 못했던 자료들인데, 시험이 어렵다는 것을 새삼 다시 한번 느낍니다. 봐야 할 자료들이 너무 많네요. 그래도 힘내시기 바랍니다. 자료 수집 중 참고 자료 자료실 | 공공데이터포털 (data.go.kr)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 2023. 3. 14.
(129 관리 3-3) 데이터 마이닝, 통계 자료 수집 중 제 전공분야가 아니고,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하기 내용은 선별해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나름 관련 링크를 여러 개 찾아봤는데, 개념 정립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가. 데이터 마이닝과 통계의 차이점 통계 분석 -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 집단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가설과 검정 등, 추론 과정을 거쳐 분석하는 기술 - 대표적 통계적 방법: 기술 통계(記述統計,descriptive statistics), 추론 통계(statistical inference) 기술 통계 기술통계(記述統計,descriptive statistics)는 측정이나 실험에서 수집한 자료의 정리, 표현, 요약, 해석 등을 통해 자료의 특성을 규명하는 통계적 방법 추론 통계 추론 통계(statistical inferen.. 2023. 3. 13.
(129 관리 3-2)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정보화사업에서 작업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를 이용하여 범위 및 일정 등을 관리한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WBS 작성 원칙 나. WBS 작성 장점 다. WBS 작성 고려사항 라. 일정지연 시 만회대책 및 사례 멘토링 지난 128회 정보관리 1교시 1번 문제로 출제된 바 있는 WBS 아마도 대부분 준비를 잘 하시고 풀이하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블로그를 보다 보니 예전에 유사 기출문제 정리했던 게 있어서 우선 재 포스팅합니다. 나중에 찬찬히 정리할게요. [두음] 백원롤방, 패코통사라 □ WBS 주요 원칙 백 : 100%(백퍼센트) Rule 원 : One-Week / Two-Week 원칙 롤 : Rolling Wave Planning (연동 계획) 방 : 방법론 이용.. 2023. 3. 9.
(129 관리 3-1) ISP 및 ISMP 수립 공통가이드 6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및 기획재정부는 최근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및 ISMP(Information System Master Plan) 수립 공통가이드” 6판 (2022.5.20)을 출시하였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공통 가이드 수립 배경 및 필요성 나. ISP와 ISMP의 차이점 다. ISP 및 ISMP의 각 단계별 활동 내용 및 산출물의 종류 HOME > 알림마당 > NIA 알림 > 공지사항 > ISP·ISMP 수립 공통가이드(제6판) 배포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ttps://www.nia.or.kr/site/nia_kor/ex/bbs/View.do;jsessionid=05CBDC19423756BD1B68EF0DAE5E919D.28945.. 2023. 3. 9.
129회 정보관리 기출문제 해설지 (KPC) KPC 카페에 제 129회 정보관리 기출문제 해설지가 올라와 있네요. 관심 있으신 분은 방문하셔서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너무나 좋은 자료들이어서, 제가 자주 이용하곤 하는데, 감사합니다. 꾸벅 행복한 일상 되세요. 기출문제 해설지,KPC 기술사 및 ICT 정보공유 커뮤니티 : 네이버 카페 (naver.com) KPC 기술사 및 ICT 정보공유 커뮤니티 : 네이버 카페 IT전문가와 정보처리기술사, 정보관리기술사를 지향하는 모두의 커뮤니케이션 공간입니다. cafe.naver.com 2023. 3. 7.
(129 관리 2-6) 리팩토링, 디자인 패턴 객체지향의 기법 중에는 리팩토링(Refactoring)과 디자인패턴(Design Pattern)이 있다. 두 기법을 각각 정의하고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23.03.05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멘토링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 번 강조한 것 같은데, 기술사 공부에 있어서 탑싯(TOPCIT)은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꼭 시간내서서 정독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가) 리팩토링 개념 ① 리팩토링 개 peimsam.tistory.com 2023.03.06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디자인 패턴(.. 2023. 3. 7.
[탑기공]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가) 디자인 패턴 개념 소프트웨어 설계의 특정한 맥락에서(in a context) 반복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recurring problem)에 대해서 일반적이고 재사용이 가능한 해결 방법 디자인패턴 분류 [두음] 생구행 클객 목적에 따라 '생성 패턴', '구조 패턴', '행위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생성 패턴: 객체의 생성과정에 관여하는 패턴 ② 구조 패턴: 클래스나 객체의 합성에 관한 패턴 ③ 행위 패턴: 클래스나 객체들이 상호작용하는 방법과 책임을 분산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패턴 범위에 따라 패턴을 주로 클래스에 적용하는지 아니면 객체에 적용하는 지를 구분할 수 있다. ④ 클래스 패턴: 클래스와 서브 클래스 간의 관련성을 다루는 패턴. 관련성은 주로 상속이며, 컴파일 타임에 정적으로 결정한다... 2023. 3. 6.
[탑기공] 리팩토링(Refactoring), 코드스멜(Code Smell) 멘토링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 번 강조한 것 같은데, 기술사 공부에 있어서 탑싯(TOPCIT)은 필독서라고 생각합니다. 꼭 시간내서서 정독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가) 리팩토링 개념 ① 리팩토링 개요 외부에서 보는 프로그램 동작은 변경하지 않고 프로그램 내부 구조를 개선하는 것 즉, 소프트웨어의 외부적 기능은 수정하지 않고 내부적 구조 및 관계를 단순화하여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을 향상해 품질을 높이는 활동 리팩토링 수행 이유 오류발견과 디버깅 용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변경에 효과적 대응 가능 복잡한 코드의 단순화 및 소스코드 가독성 향상 프로그램 생산성 및 품질 향상 ② 리팩토링 수행 절차 나) 코드스멜(Code Smell) 개념 ① 코드스멜의 개념 읽기 어렵거나 중복된 로직을 가진 프로그램처럼 개발자.. 2023. 3. 5.
(129 관리 2-5) 구조적 방법론, Agile 방법론 A 기업은 다수의 기존 정보시스템을 운영 및 유지보수를 하고 있으며 신규 시스템에 대한 개발을 기획중에 있다. 개발 방법론으로 구조적 방법론을 주로 활용하여 왔지만 Agile 방법론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구조적 방법론과 Agile 방법론 비교 나. Agile 방법론의 스크럼(Scrum)과 칸반(Kanban) 설명 다. Agile 방법론의 효율적인 수행 방안 제시 멘토링 이 문제는 대부분 선택하시고, 잘 풀이하셨을거라 예상됩니다. 소프트웨어공학 도메인의 필수 토픽이니까요. 정리는 찬찬히 하고, 관련 있는 블로그 내 자료 우선 재포스팅 합니다. 행복한 일상되세요. 참고 자료 2022.12.07 - [(Pilot) 탑기공/소프트웨어 개발] - [탑기공] 03. 소프트.. 2023. 3. 4.
(129 관리 1-4) 대규모 공공 차세대 시스템 최근 대규모 공공 차세대 시스템이 오픈 이후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사회적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발생된 문제점의 원인 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및 법제도 보완 방안 다. 시스템 오픈 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지표관리 멘토링 정답이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기술사적 소견을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서술하면 될 듯합니다. 결국 핵심 키워드가 중요한데, 최근 공공 차세대 시스템 이슈들이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알고 있었다면 풀이에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백신 예약 시스템, 온라인 클래스,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등) 이슈들에 대한 원인은 몇 개의 기사들만 봐도 알 수 있을 듯한데, 예산 부족, 낮은 수익률, 불공정 관행, 과업범위 변경, SW 산업에 대한 .. 2023. 3. 2.
(129 관리 2-3) 딥뷰(Deep View) 개념, 기술요소 딥뷰(DeepView)의 개념과 기술요소를 설명하시오. 멘토링 너무나도 전문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소개 자료를 봐도 저 역시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 개념에 대해 참고로만 보시기 바라며, 관심 있으신 분들은 ETRI 인공지능연구소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딥뷰(Deep View) 인간처럼 보고 이해하는 시각 인공지능 ETRI 인공지능연구소에서 개발한 실시간 대규모 영상 데이터 이해/예측을 위한 고성능 비주얼 디스커버리 플랫폼 (딥뷰, Deep View) 핵심 기술 사람 관절 포인트를 갖고 행동을 인식하는 기술 사물을 인지하고 추적하는 기술 세부 연구 1. 사물 및 행동이해를 위한 백본 네트워크 고도화 기술 2. 사람 상태 및 속성 이해 뉴럴넷 기술 3. 비디오 행동 이해 네트워크 기술 4. 시.. 2023. 2.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