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료구조4

그래프(Graph) 자료구조 멘토링 그래프의 개념과 구성 요소에 대한 개별적인 이해도 중요하지만, 최단 경로 및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과 연계하여 그래프와 트리를 학습하시길 권고드립니다. 최단 경로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벨만-포드(Bellman-Ford), 플로이드 와샬(Floyd Warshall), A* 알고리즘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 크루스컬(Kruskal), 프림(Prim) 알고리즘 그래프(Graph)의 개념 객체를 나타내는 정점(vertex)과 객체를 연결하는 간선(edge)의 집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원소 사이의 다:다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 [두음] 그정간다 그래프, 정점, 간선, 다:다 관계 표현 그래프의 종류 무방향 그래프, 방향 그래프, 완전 그래프, 가중 그래프, 유향 비순환 그래프(DAG,.. 2022. 12. 19.
트리(Tree) 자료구조 트리의 개념 트리(Tree)는 원소들 간에 계층 관계를 가지는 계층형, 비선형 자료 구조 일반적으로 원소들 간에 1:다 관계를 가진다. 트리 구성 요소 구분 설명 루트노드(root node) 트리의 시작 노드 간선(edge) 노드를 연결하는 선 형제노드(sibling node) 같은 부모 노드를 가진 자식 노드들 서브트리(subtree) 부모노드와 연결된 간선을 끊었을 때 생성되는 트리 트리 개념도 기출 문제 예전에 한창 코딩 공부할 때 트리 및 그래프 관련 웬만한 알고리즘은 다 코딩할 수 있었는데,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라서, 3년 가까이 하지 않다 보니 거의 잊어버렸네요. 쉽지 않겠지만,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기초 Pseudo Code 까지는 업데이트 해 보겠습니다.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관련 고득점을.. 2022. 12. 18.
큐(Queue) - "큐피포" 선형 자료 구조에서 종종 비교되는 것이 스택(Stack)과 큐(Queue)입니다. 스택은 지난번 포스팅했던 것처럼 LIFO의 특징을 갖고 있는데, 큐는 FIFO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스택은 삽입/삭제가 한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반해 (Top) 큐는 삽입/삭제하는 곳이 분리되어 있습니다.(Rear, Front) 스택은 깊이 우선 탐색(DFS) 구현에 활용될 수 있고, 큐는 너비 우선 탐색(BFS) 구현에 활용 될 수 있습니다. 큐(Queue) 선형 자료 구조의 하나로, 스택과 달리 삽입되는 곳과 삭제되는 곳이 다른 자료 구조 큐는 뒤에서(Rear) 삽입되고 앞(Front)에서 삭제할 수 있는 구조 FIFO(First Input, First Output) 특징 보유 큐의 개념도 출처 : 탑싯 에센.. 2022. 12. 16.
스택(Stack) - "스리포 3!4!" 한번 보면 절대 잃어버리지 않을 두음을 만들면 희열을 느낍니다. 룰라의 3!4!를 아시나요? 스택(Stack)의 핵심 특징은 LIFO(리포, Last In, First Out)입니다. 스택(Stack) LIFO Last In, First Out 스택(Stack) 선형 자료구조의 하나로 데이터가 입력된 순서로 기억공간에 저장되어 출력 시 가장 나중에 쌓인 데이터가 가장 먼저 출력을 하게 되는 자료 구조 스택의 개념도 스택의 연산 종류 연산 종류 설명 top() 스택의 맨 위에 있는 데이터 값을 반환한다 push() 스택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pop() 스택에서 데이터를 삭제하여 반환한다. isempty() 스택에 원소가 없으면 true 값을 반환하고 있으면 false 값을 반환한다. isfull() 스택에.. 2022. 12.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