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Deep Learning) 차이
멘토링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핵심 키워드 위주로 비교하는 게 중요합니다.
130회에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 유형 및 장단점"에 대해
출제된 바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깊이 있는 답안으로 차별화가 필요해 보입니다.
ps) 선별해서 보시기 바랍니다.
구분 |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
딥러닝 (Deep Learning) |
개념 | - 기계가 데이터로부터 학습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부여하는 기술 - 인간이 직접 프로그래밍 하여 특정 명령 필요 없이, 알고리즘이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중 패턴을 찾아내 예측 |
- 머신러닝의 진화된 버전으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기술 - 머신러닝의 부분집합으로 지능화된 컴퓨팅 기술을 통해 심층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s)을 구현 |
유형 |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준지도 학습 강화학습 |
CNN RNN Transformer GAN |
머신러닝 학습 유형
학습 유형 | 개념 | 주요 알고리즘 | 활용 예시 |
지도학습 | - 레이블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학습하여 입력과 출력 사이의 관계를 모델링 - 알고리즘을 실행하면서 얻어진 output과 정답 레이블(label)을 비교하며 반복적으로 훈련 |
선형 회귀, 의사결정 트리, 신경망 (Neural Networks), 랜덤 포레스트 | 스팸 메일 분류, 이미지 분류, 주가 예측 |
비지도학습 | - 레이블 없는 데이터에서 패턴이나 구조를 찾는 학습 방식 - 주로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거나 차원 축소에 사용 - 정답 없이 목표만 주어지는 학습법이며, 데이터 내의 일정한 패턴 · 규칙을 추출 |
K-평균 클러스터링, 주성분 분석 (PCA), 자기조직화 지도 (Self-Organizing Maps) | 고객 분류, 데이터 압축, 이미지 분할 |
준지도학습 | - 일부 데이터만 레이블이 있는 경우,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을 결합한 학습 방식 - 지도 학습과 비지도 학습을 결합한 것으로, 알고리즘은 레이블이 지정된 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데이터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 주로 사용 |
심층 신경망 (Deep Neural Networks)의 준지도 학습 기법 | 텍스트 분류, 음성 인식, 의료 진단 |
강화학습 | - 에이전트가 환경과 상호 작용하며 보상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학습 - 행동심리학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어떤 환경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현재 상태를 인식하여,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 |
Q-러닝 (Q-Learning), 딥 Q-러닝 (Deep Q-Learning), 강화 신경망 (Reinforcement Neural Networks) | 로봇 제어, 게임 에이전트, 자율 주행 자동차 |
지도학습 (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학습 (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심층신경망의 기본적 원리는 인간두뇌의 연결성을 모방해 데이터 세트를 분류하고, 데이터 간 상관관계를 찾아내며, 유용한 정보패턴을 입력하거나 가르쳐 주지 않아도 알고리즘이 스스로 습득
딥러닝은
①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을 위한 전처리 과정(pre-processing)을 전체 학습 프로세스에 포함,
② 영상 데이터와 같이 차원수가 크고 복잡한 데이터의 경우 전처리 과정에서 손실될 수 있는 정보를 자동 추출,
③ 높은 수준의 추상화 작업(Abstraction)에 효율적이며 시뮬레이션 크기를 늘릴수록 대량의 데이터를 흡수하는 능력이 좋아지는 특징이 있음
딥러닝 주요 기술 설명
딥러닝 기술 | 개념 및 특징 | 주요 알고리즘 | 활용 분야 |
합성곱 신경망 (CNN) |
이미지 및 비디오 처리에 특화된 신경망 구조 | LeNet, AlexNet, VGG, ResNet, Inception, MobileNet | 이미지 분류, 객체 감지, 얼굴 인식, 자율 주행 |
순환 신경망 (RNN) |
순차적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며, 과거 정보를 고려 | LSTM, GRU, SimpleRNN, Bidirectional RNN |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 시계열 예측, 기계 번역 |
변형자 (Transformer) |
언어 및 시계열 데이터 처리에 효과적인 구조 | GP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BERT, T5 | 자연어 처리, 기계 번역, 대화형 AI, 요약 |
생성적 적대 신경망 (GAN) |
생성자와 판별자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 생성 및 감별 | DCGAN, CycleGAN, StyleGAN, BigGAN | 이미지 생성, 스타일 변환, 음악 생성, 영상 생성 |
기출문제
(관리 130-1-9)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 유형 및 장단점
2023.07.20 - [정보관리기술사/★ 130회 기출문제 풀이 ★] - (130 관리 1-9)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유형 및 장단점
(130 관리 1-9)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유형 및 장단점
머신러닝 최적화 알고리즘(Optimization Algorithm) 유형 및 장단점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고 있는데, 전공 분야가 AI 가 아니다 보니 이해하는 것도 어렵네요. 향후 공부를 위해 참고할만한 유관 자료들
peimsam.tistory.com
참고자료
[KISA Insight 2022 Vol.03]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이슈 분석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지식플랫폼>정기간행물>KISA Insight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Insight 2022 Vol.03] AI 중심사회의 도래와 보안 이슈 분석 요약 목차 요약 코로나-19로 촉발된 디지털 대전환은 사회 변화의 핵심동력이 될 것이며, AI 주도의 ICT 패러다임 변화가 예상되고 지속
www.kisa.or.kr
ChatGP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