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이를 하면서 저 역시 하나씩 배워 나갑니다.
정의 부분은 TTA 정보통신용어사전이 제일 마음에 들어서 인용했습니다.
개념도, NOMA vs OFDMA 비교 내용은
인용한 링크를 걸어 놨으니 한 번씩 방문해서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비직교 다중접속(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각 사용자 단말별로 주파수나 시간, 코드 자원 등을 공유하여
직교하지 않는(non-orthogonal)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하면서
정해진 자원으로 단말을 좀 더 많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접속 방식
동일한 자원(time slot, subcarrier, spreading code 등)을 공유한 둘 이상의 단말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주파수 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말한다.
동일한 시간, 주파수, 공간 자원 상에 두 대 이상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자원 효율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노마(NOMA)는 5G 셀의 용량 증대를 위해 사용한 기술로 기존의 직교 다중 접속(OFDMA) 방식이 갖고 있던 주파수 자원 할당 관점에서의 직교성(orthogonality property)을 깨고 같은 주파수 자원 상에 두 대 이상의 단말 데이터를 동시에 중첩 할당하여 자원 효율을 높인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채널 품질의 차가 큰 셀 중심 지역에 있는 단말과 셀 경계 지역에 있는 단말로 데이터 신호들을 중첩하여 전송할 때 셀 중심 지역 단말에게는 작은 전력을, 셀 경계 지역 단말에게는 높은 전력을 할당한다.
셀 중심 지역에 있는 단말은 순차적 간섭 제거(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SIC) 방식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큰 셀 경계 단말의 간섭 신호를 먼저 복호하여 제거한 후 자신의 신호를 성공적으로 복호할 수 있다.
셀 경계 단말은 셀 중심 단말의 간섭 신호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도달하므로 이를 간섭으로 간주한 채 자신의 신호를 복호할 수 있다.
NOMA 개념도
Y 축은 Power, X 축은 Time/Frequency 입니다. 중요 !!!
송신 시 중첩 전송, 수신 시 순차적 간섭 제거 중요 !!!
OFDMA vs. NOMA
참고 자료
FDMA, TDMA, CDMA, OFDMA, NOMA 등에 대해 포스팅한 블로그입니다. (↓)
https://blog.naver.com/wjdtjsrms11/222647498648
NOMA in 5G Systems - IEEE Future Networks
'정보관리기술사 > ★ 129회 기출문제 풀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9 관리 2-1) 응용 프로그램 가상화,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 (0) | 2023.02.23 |
---|---|
(129 관리 1-13) 트리 정렬(Tree Sort) (0) | 2023.02.21 |
(129 관리 1-11) 정보보호제품 신속확인 제도 (0) | 2023.02.16 |
(129 관리 1-10) 코드형 인프라스트럭처 (IaC) (0) | 2023.02.15 |
(129 관리 1-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캡슐화(Encapsulation)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