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안 기사 필기

25. 네트워크 기반 프로그램 활용

두음달인 2023. 9. 25. 18:31
반응형

01 네트워크 기반 주요 명령어

 

명령어 개념 활용법
ping 네트워크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ping [옵션] 대상주소
예: ping www.example.com
traceroute 목적지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는 명령어 traceroute [옵션] 대상주소
예: traceroute www.example.com
netstat 네트워크 연결 정보와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는 명령어 - netstat -tuln : TCP 및 UDP 포트 상태 확인
- netstat -r : 라우팅 테이블 확인
- netstat -a : 모든 연결 확인
tcpdump 네트워크 패킷을 실시간으로 캡처하고 분석하는 명령어 tcpdump [옵션] [표현식]
예: tcpdump -i eth0 port 80

 

ping

옵션설명

-c count 지정된 횟수만큼 패킷을 보내고 종료
-i interval 패킷을 보내는 간격 (초 단위)
-t timeout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 (초 단위)
-s size 패킷의 크기를 지정
-q 간단한 출력 모드로 실행

traceroute

옵션설명

-n 주소를 숫자형식으로 표시
-w waittime 응답 대기 시간 (초 단위)
-m max_ttl 최대 TTL (Time To Live) 값 지정
-q queries 각 TTL 값에서 시도할 쿼리의 수

netstat

옵션설명

-t TCP 포트 정보 출력
-u UDP 포트 정보 출력
-l 대기 중인 (Listen) 연결만 표시
-n 주소를 숫자형식으로 표시
-r 라우팅 테이블 정보 출력
-a 모든 연결 및 소켓 정보 출력

tcpdump

옵션설명

-i interface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선택
-n 주소를 숫자형식으로 표시
-c count 지정된 횟수만큼 패킷을 캡처하고 종료
-X 패킷의 내용을 16진수와 ASCII로 함께 표시
-s snaplen 캡처할 패킷의 최대 길이를 지정
-A 패킷의 내용을 ASCII로 표시

 

참고 자료

 

ChatGP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