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관리기술사/SW 공학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소프트웨어 테스트 분류 - "정적/동적 테스트"
두음달인
2022. 10. 2. 12:48
반응형
소프트웨어 테스트는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는데
첫 번째로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라 정적 테스트와 동적 테스트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테스트
구분 | 설명 | 종류 |
정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명세서나 소스 코드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테스트 |
워크스루 (Workthrough), 동료 검토 (Peer Review), 인스펙션(Inspection), 코드 검사 등 |
동적 테스트 |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오류를 찾는 테스트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
블랙박스 테스트, 화이트 박스 테스트 |
정적 테스트 종류
워동인
WalkThrough
- 비공식 검토
- 프로젝트 개발 초기에 팀 내에서 수행하는 검토 과정
- 구성: 프로젝트 팀원
Peer Review
- 동료 검토
-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각 단계 별 산출물, 제품에 대해 동료들이 상호교차하여 검토 수행 활동
- 구성: 프로젝트 팀원, 체크리스트
Inspection
- 공식적 검사
-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산출물을 대상으로 공식적 검토, 결함 발견 과정
- 구성: 이해 관계자, 중재자, 검토자, 기록자
참고 자료
IT위키에 정적 테스트 종류별 비교표나 개념이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T위키
IT에 관한 모든 지식. 함께 만들어가는 깨끗한 위키
itwiki.kr
[참고] 정적 테스트 분류
아래와 같이도 분류된다고 하니, 참고자료로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